조선 시대 ‘사내기생’
사내기생, 지금의 시각으로 본다면 어떤 존재일까?
성별의 경계를 넘어 춤추던 조선의 예술가― ‘남자 기생’이라는 말에 담긴 문화적 전환의 코드한복을 입고, 가늘고 유연한 손짓으로 부채를 펼치고, 가야금 소리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사람.누구를 떠올리셨나요?대부분은 기생, 즉 여성 예인을 떠올릴 것입니다.하지만 **조선 후기에 등장한 사내기생(男妓生)**은,그런 고정된 상상을 가볍게 뒤흔드는 존재였습니다.그들은 남성의 몸을 지녔지만 여성의 예술을 수행했고,당대 조선이 구축해놓은 성 역할, 규범, 위계의 질서를 예술로 넘어선 경계자였습니다.1. 성별 이분법이 강했던 시대, 유일하게 경계를 넘은 직업조선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성별 이분법과 역할 분리가 강력했던 사회였습니다.남자는 바깥일, 여자는 안살림여성의 외출은 철저히 통제여성의 교육은 제한적남녀 유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