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사내기생’
기록되지 않은 주체, 사내기생은 왜 역사에서 사라졌나
1. 존재했지만 기록되지 않은 이들: 사내기생의 역사적 실체조선의 궁중에서는 언제나 ‘정재(呈才)’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정재는 단순한 춤이 아니었다. 왕의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적 퍼포먼스이며, 국가적 위계 질서를 시각화하는 장치였고, 외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문화적 언어였다. 그 무대 중심에는 분명히 ‘예인(藝人)’이 있었고, 그들 중 상당수는 남성이면서 여성의 표현을 연기한 사내기생이었다.장악원이라는 제도 속 실체조선 시대 음악과 무용을 총괄하던 관청인 ‘장악원’은 국왕과 왕실을 위한 의례, 행사, 연희를 전문적으로 담당했다.이 기관은 단순한 음악 연주자만 양성한 것이 아니라, 성악, 기악, 무용, 시 낭송까지 종합 예술인들을 길러냈다.특히 **‘무동(舞童)’**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어린 남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