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사내기생’
조선시대의 경계인, 사내기생이 말해주는 또 하나의 진실
1. 경계인으로서의 사내기생, 왜 조선에 존재했는가?‘사내기생’이라는 말은 모순처럼 들린다.‘기생’은 여성이고, ‘사내’는 남성인데, 어떻게 이 두 단어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통합될 수 있었을까?그러나 바로 이 모순성, 이 이질적 결합이야말로 사내기생의 본질이다.그들은 사회가 허용한 한계 안에서 경계를 넘나든 존재,조선이라는 유교 국가가 품은 문화적 예외였다.사내기생은 단순히 여장을 한 남자가 아니었다.그들은 **당대 문화와 젠더 질서, 예술 체계의 접경지대에 놓인 ‘경계인’**이었다.남자 기생이 먼저였다 – 사내기생의 기원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기생은 보통 조선 후기의 여성 기생들이다.그러나 실제 조선 초~중기까지만 해도, 궁중 연회나 공식 의례에서 여성은 거의 등장하지 못했다.왕 앞에서 춤추고 노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