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사내기생’
남성 기생을 통해 본 조선의 예술 교육: 장악원의 시스템과 문화 인재 양성소로서의 역할
1. 예인인가, 기생인가 – 오해에서 시작된 이름사내기생(男妓生). 이 생소한 단어는 우리의 역사 교육 속에서 단 한 번도 본 적 없는 인물상을 불러낸다. 많은 이들은 "기생이 어떻게 남자일 수 있는가?"라고 묻는다. 기생이라는 단어가 이미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의문은 결국 조선 시대 예술가들의 정체성을 단순화하고, 당대의 문화 구조를 잘못 이해하게 만드는 단서가 된다.'기생'이라는 단어는 본래 성별을 지시하는 단어가 아니었다. 고려 말부터 사용된 '기생(妓生)'은 ‘기예(技藝)를 익히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출발했다. 초기에는 남성 예인들도 ‘기생’이라 불렸고, 이들이 연주하고 노래하며 무용을 선보이는 것은 국가적인 의식의 일부였다. 그러나 조선이 유교 중심 사회로 접..